365MEAEIL KOREAN MEDICINE HOSPITAL

통증 클리닉

[오십견]

오십견의 정확한 명칭은 동결견, 혹은 유착성 견관절염으로 어깨 관절에

다른 이유 없이 만성적인 운동 제한이 발생하고 통증이 동반되는 질환을 말합니다.

관절의 유착으로 인한 운동 제한이 동반되는 경우 오십견에 해당됩니다.

• 원인

노화

운동부족

바르지 못한 자세(스마트폰, 컴퓨터)

장기간 어깨 미사용

당뇨병, 갑상선 질환 같은 전신 질환이 있는 경우

오십견 증상

365-k-84

NO.01

어깨가 뻣뻣하고 

팔을 높이 들기가 어렵다.

365-k-83

NO.02

팔을 뒤로 젖힐 때

어깨 부위가 아프다.

365-k-82

NO.03

가만히 있어도 통증이

어깨에서 팔로 퍼진다.

365-k-81

NO.04

아파서 잠을 이룰 수 없다.

365-k-80

NO.05

자연 치유되지만

오랜 시간이 필요하다.

[회전근개 건염 및 파열]

회전근개는 어깨 관절의 회전 운동 및 안정성을 유지해주는

어깨 주변의 근육을 총칭하는 말입니다.

이들 근육 가운데에 하나 또는 그 이상에 염증이 생겨 팔과 어깨에 통증을 발생

시키는 경우를 회전근개 건염이라고 하며, 진행되어 파열된 질환이 회전근개 파열입니다.

• 원인

노화로 인한 퇴행성 변화

외상 (교통사고/상해)

어깨를 쓰는 과도한 운동

유전적인 요인

노화와 어깨충돌증후군의 결합

무리한 노동

회전근개 건염 및 파열 증상

365-k-80

NO.01

들어올리거나 어깨 밖으로

돌리려는 힘이 약하다.

365-k-86

NO.02

야간의 통증 악화로

잠이 깨기도 한다.

365-k-84

NO.03

스스로 팔을 들어 

올리기는 힘들다.

[테니스•골프 엘보]

손과 손목을 움직이는 근육은 대부분 팔꿈치에서 시작하는데

손목을 구부리는 힘줄은 팔꿈치 안쪽에, 펴는 힘줄은 팔꿈치 바깥쪽에 위치합니다.

팔꿈치 바깥쪽 힘줄이 손상되면 테니스 엘보, 팔꿈치 안쪽 힘줄이 손상되면 골프 엘보라고 합니다.

• 원인

테니스, 골프 등 팔을 많이 쓰는 운동을 지나치게 한 경우

컴퓨터 사용자, 주부, 목수, 요리사 등 팔을 많이 사용하는 경우

무리한 운동으로 팔꿈치에 외부적 충격이 가해질 경우

테니스•골프 엘보 증상

365-k-94

NO.01

팔꿈치 바깐쪽이나 안쪽에

통증을 느낀다.

365-k-93

NO.02

물건을 들어 올리거나

주먹을 쥐기 힘들다.

365-k-92

NO.03

가벼운 일상생활에서도

통증이 느껴진다.

[수근관증후군]

수근관이란 손목 앞쪽의 피부조직 밑에 손목을 이루는 뼈와 인대들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작은 통로를 말하는데, 이곳으로 9개의 힘줄과 하나의 신경이 지나갑니다.

수근관 증후군은 이 통로가 여러 원인으로 좁아지거나 내부 압력이 증가하여

이곳을 지나는 신경이 손상되어 손바닥과 손가락에 이상 증상을 나타나는 질환입니다.

• 원인

수근관절 주위의 골절이나 탈구 및 후유증으로 인한 경우

감염이나 염증성 질환, 또는 외상으로 인한 부종이 나타나는 경우

수근관내 종양이 생기거나 비만, 노인, 당노병 환자인 경우

수근관증후군 증상

365-k-99

NO.01

주로 엄지와 검지, 중지의

저림 및 무감각

365-k-98

NO.02

손바닥, 엄지두덩이

부위의 뻐근함

365-k-97

NO.03

찬 기운에 손끝에

시리고 타는 듯한 느낌

365-k-96

NO.04

통증과 저림으로

인한 수면 방해

365-k-95

NO.05

바느질처럼 정교한

동작이 어려움

[무릎 관절염]

무릎 관절은 몸의 움직임에 따라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퇴행성의 변화 등 여러가지 원인에 의해 무릎이 몸의 하중을 제대로 지탱하지

못하게 되어 염증이 생기게 되면 심한 통증과 붓기, 열감이 동반되는데

이것을 무릎 관절염이라고 합니다.

• 원인

운동 이후 연골 손상을 방치하여 관절염으로 발전하는 경우

가사 등 무릎에 반복적인 부하가 가해지는 경우

과체중이나 비만이 심한 경우

유전적 원인이나 폐경으로 인한 호르몬 변화로 인한 경우

무릎 관절염 증상

365-k-104

NO.01

서 있으면 아프고 쉬면

완화되는 통증이 나타난다

365-k-103

NO.02

계단 내려갈 때

아프다

365-k-102

NO.03

무릎을 움직일 때 삐걱거리는

느낌과 함께 소리가 난다

365-k-101

NO.04

무릎을 구부리거나 

펴기가 힘들다

365-k-100

NO.05

무릎 주변 근육이 힘이 없다

[족저근막염]

족저근막은 발뒤꿈치뼈에서 시작하여 발바닥 앞쪽으로 이어지는 부위에 붙은

두껍고 강한 섬유띠를 말합니다.

발의 아치를 유지하고 충격을 흡수하여 보행 시 발의 역학에 중요한 약할을 하는데

이 족저근막이 반복적인 미세한 손상으로 인해 콜라겐의 변성을 유발하고

염증을 일으키는 것을 족저근막염이라고 합니다.

• 원인

평발이나 요족 변형이 있는 경우

장거리의 마라톤 또는 조깅을 한 경우

딱딱한 바닥에서 발바닥에 충격을 줄 수 있는 운동을 한 경우

쿠션이 없는 구두나 하이힐을 착용했을 경우

족저근막염 증상

365-k-105

NO.01

아침에 처음 발을 디딜 때

심한 통증이 있다

365-k-106

NO.02

발뒤꿈치뼈 안쪽을 누르면

통증이 발생한다

365-k-107

NO.03

가만히 있을 때는 통증이 없다가

움직이면 생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