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ERYDAY 365 KOREAN MEDICINE HOSPITAL
관절질환

퇴행성 관절염이란?
퇴행성관절염이란 나이가 들면서 뼈와 근육, 인대가 퇴행화되어 기능이 손상되고 염증이 일어나 통증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전 인구의 10~15%가 앓고 있다고 알려져 있을 만큼 흔한 질환으로 노년층에서 나타나는 대부분의 관절염은 퇴행성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퇴행성관절염은 무릎에 주로 발생하지만 이외에도 어깨, 여성들의 손가락, 몸무게가 실리는 고관절, 척추관절 등에 두루 나타납니다.
퇴행성 관절염의 원인
노화로 인한 관절의 퇴행성 변화
지나친 운동이나 외부적 충격으로 연골이 손상되는 경우
관절의 반복적인 사용으로 인해 연골과 인대가 닳게 되는 경우
비만으로 인한 관절과 연골 압박 (비만인 사람은 퇴행성관절염 발병률이 정상인의 2배)
근육과 뼈에 영양 공급이 부족해질 경우
퇴행성 관절염의 증상
01
걸을 때 관절에서 소리가 난다.
02
간단한 동작에도 무릎이 무겁다.
03
한 자세로 오랫동안 앉거나
서있으면 관절이 쑤시고 아프다.
04
걸을 때 관절에서 소리가 난다.
05
아침보다 저녁, 혹은 운동 후에
관절이 붓고 열이 나면서 아프다.
06
아침에 일어나거나 낮잠을 자고
일어났을 때 관절이 뻣뻣하게
굳었다가 조금 움직이면 풀린다.
07
체중이 실리는 무릎, 엉덩이
고관절, 발과 척추 관절 등이 아프다.
08
손가락 끝 관절과 엄지손가락
뿌리 부분의 돌출 부위가 아프다.
09
다리 안쪽이 휘어 서 있을 때
다리 모양이 O자가 된다.
10
계단 오르내리기가 힘들다.
11
똑바로 앉는 자세를 취하기 어렵다.
12
간단한 동작을 할 때도
무릎 관절이 어긋나는 듯하다.
퇴행성 관절염 치료
퇴행성관절염은 항상 관절 주변을 따뜻하게 하여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해주는 동시에 한약치료, 침, 물리치료 등의 종합적인
치료가 동반되어야 합니다.
퇴행성관절염이 발생하면 관절 부위의 근육이 뭉치거나 위축되어
통증이 지속적으로 나타나는데 약침 치료를 통해 경직된 근육의 경혈을
침으로 자극하여 통증을 해소합니다.
또한 뼈와 연골을 강화시키는 한약으로 뼈의 퇴행을 방지하고
관절염이 악화되는 것을 막아주어야 합니다.

반월상 연골손상이란?
반월상연골은 허벅지와 종아리뼈 사이에 있는 반달 모양의 연골조직으로 무릎 관절의 충격을 줄여주며 관절 연골에 영양분을 공급해줍니다. 또한 무릎 관절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해주며, 체중을 받쳐주는 역할도 합니다.
반월상연골손상은 이 연골 조직을 무리하게 사용하거나 외부 충격이 가해져 연골이 파열되는 것을 말합니다. 치료를 미루거나 방치하면 퇴행성 변화를 촉진하여 퇴행성관절염으로 이어지기 쉽습니다.
반월상 연골손상의 원인
운동 경기나 등산 등의 과도한 운동
일상생활 중의 부상으로 무릎이 손상되는 경우
나이가 들며 반월상연골 자체에 퇴행성 변화가 오는 경우
선천성 기형이 있는 경우
반월상 연골손상 증상
통증 및 압통
급성기에 심한 통증을 호소하며
관절 부위를 따라 압통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관절 부종
무릎에 물이 차고 붓는 증상이
자주 반복됩니다.
운동 장애
무릎을 구부리기가 어렵고 앉았다
일어날 때 통증이 발생합니다.
잠김 현상
무릎이 어느 순간 구부러지지
않는 증상이 발생합니다.
불안정
계단을 내려갈 때 무력감을
느끼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근육 위축
시간이 지날수록 근육이 위축돼
다리가 가늘어질 수 있습니다.
반월상 연골손상 치료
반월상연골손상의 치료는 약침, 한약치료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집니다. 이러한 치료법은 혈액 순환을 촉진하고 통증을 감소시키며 손상된 부위를 회복시켜 손상된 반월상연골을 효과적으로 치료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치료 후에는 수영과 같이 무릎에 하중이 실리지 않는 운동으로
무릎 주변의 근육과 인대를 강화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슬개골 연골 연화증이란?
슬개골은 무릎을 펴주는 전방 허벅지 근육과 무릎 전방 힘줄 사이에 위치하는 뼈로 슬개골연골연화증은 이 슬개골을 덮고 있는 연골이 단단함을 잃고 말랑말랑하게 약해지는 증상입니다.
병이 진행되면 연골 표면이 갈라지고 닳게 되며 말기에는 연골이 소실돼 연골 아래 뼈가 노출되기도 합니다. 하이힐을 자주 신는 20~30대 여성이 무릎이 시큰거리고 쑤신다면 이 질환을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슬개골 연골 연화증의 원인
교통사고 등의 외상으로 무릎 앞쪽에 심한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스키 등의 운동으로 인해 심한 무릎 연골이 손상되는 경우
일상 생활 중 무릎을 꿇거나 쪼그리는 자세로 오래 일을 하는 경우
계단이나 언덕을 자주 오르내리며 걷는 경우
장시간 동안 운전을 하는 경우
슬개골 연골 연화증의 증상
01
무리하게 움직이면 증상의 악화
및 호전이 반복되는 경우가 많다.
02
무릎 앞쪽이 저리고
뻑뻑하게 느껴진다
03
무릎 앞쪽에서 통증이 느껴지고
두 무릎을 굽힐 때마다 이상한 소리가 난다.
04
계단을 오르내리기
매우 불편하다.
05
무릎을 꿇고 앉았다 일어나거나
의자에서 일어날 때 무릎에서
소리가 나고 통증이 나타난다.
06
눈이나 비가 오는 날에
무릎 통증이 심해진다
슬개골 연골 연화증 치료
슬개골연골연화증은 대개 보존적 요법으로 치료가 가능합니다.
연골을 단단하게 하고 탄성을 회복시키기 위해 연골 보호와 재생 효과가 뛰어난 한약치료 위주로 통증을 가라앉히고 염증을 줄이는 침치료,
무릎 근력을 강화하는 운동재활치료를 복합적으로 진행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치료 후에는 퇴행성관절염으로 진행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근육과 인대를 강화하여 슬개골을 보호해주어야 합니다.

무릎 점액낭염이란?
점액낭은 무릎 관절을 싸고 있는 기름 주머니로 관절의 움직임을 부드럽게 하고 마찰열이 생기지 않도록 윤활액을 분비합니다.
무릎점액낭염은 무리한 운동이나 관절의 반복적인 사용으로 인해 점액낭에 염증이 생겨 통증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무릎 점액낭염의 원인
컴퓨터 사용, 오랜 시간 책을 보는 것, 스마트폰 등으로 목뼈의 C자형 곡선이 일자목(거북목)이 된 경우
목의 힘이 과하게 들어가는 운동
체형에 맞지 않는 베개 사용으로 밤새 목과 어깨 근육이 긴장하게 되고 척수를 압박하는 경우
무릎 점액낭염 증상
01
무릎관절에 뻣뻣하고
뻐근한 통증이 느껴진다.
02
움직일때 통증이
더욱 악화된다.
03
만지면 따뜻함이 느껴지거나
붉은 빛을 나타낸다.
04
겉으로 보기엔 아무렇지도 않으나
통증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05
걷거나 경사진 곳을
오를 때 통증이 발생한다.
무릎 점액낭염 치료
릎 점액낭염은 약침치료, 한약치료, 물리치료 등으로 치료할 수 있습니다.
특히 한약재의 엑기스를 추출해 침을 놓는 부위인 경혈에 주입하는
약침요법은 침과 한약의 효과를 동시에 볼 수 있으며 몸의 면역 기능을 전체적으로 강화하기 때문에 다양한 질환에 효과적입니다.
그러나 감염에 의한 활액낭염일 경우 항생제 투여나 수술적 요법 등
양방치료와 병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무릎점액낭염은 만성적으로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치료가 끝난 후에는 스트레칭이나 수영, 걷기 등으로 관절과 근육, 인대를
단련시켜주는 것이 좋습니다.